Page Nav

에디터정보

Haangle Latest

latest

내가 만난 세종(16) 정조의 세종 흠모, 한글 정책은 따르지 않다

1779년 8월 5일, 정조가 즉위한 지 3년째 되던 해에 정조는 여주를 찾았다. 정조는 영릉(英陵)에 나아가 세종 임금께 잔을 올리고 제례를 지낸 뒤 신하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의 예악과 문물은 모두가 영묘(英廟, 세종)의 제도...


1779년 8월 5일, 정조가 즉위한 지 3년째 되던 해에 정조는 여주를 찾았다. 정조는 영릉(英陵)에 나아가 세종 임금께 잔을 올리고 제례를 지낸 뒤 신하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의 예악과 문물은 모두가 영묘(英廟, 세종)의 제도가 아닌 것이 없는데 그 큰 규모와 아름다운 법을 이제까지 준수하니, 어찌 성대하지 않겠는가? 영묘·효묘(孝廟, 효종)의 융성한 덕과 대업을 어찌 감히 꼴을 갖추어 말할 수 있으랴마는, 이제 와서 선왕의 업적을 계승하는 일은 나의 책임이다. 내가 오늘 두 능에 참배하고 추모하는 가운데에 더욱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절실하다.”

≪정조실록≫ 1779.8.5.

이 말은 정조가 세종 시대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고 흠모하여 그 업적을 계승하는 것은 자신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정조는 개혁 군주로서 ‘영정조 르네상스’ 시대의 군주로 평가받고 있다.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의 꿈은 대부분 사라져 갔지만, 그래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수원 화성이 그의 시대를 웅변하듯 우리들 곁에 서 있다.

박현모 교수는 세리시이오 공개 강연에서 “세종과 정조 누가 더 훌륭한가?”라는 흥미로운 강연을 한 적이 있다. 이런 질문은 “김유신 장군과 이순신 장군이 싸우면 누가 이길까”와 같은 어리석은 물음이지만, 너무도 대조적인 정치 운영방식에서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결론은 세종은 ‘뒤에서 미는’ 방식의 정치를, 정조는 ‘앞에서 끄는’ 방식의 스타일 차이가 있음을 분석해 냈다.

명쾌한 분석이다. 이런 스타일의 차이는 있지만, 정조는 24년간 임금 자리에 있으면서 세종을 닮으려고 큰 노력을 기울였고,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런데 단 한 가지 세종을 잇지 않은 것이 있고 그것이 정조 시대의 개혁을 물거품으로 만든 핵심 이유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무엇일까? 바로 언문(훈민정음) 정책이다. 정조는 아쉽게도 쉬운 문자로 지식과 정보를 나누려는 세종의 뜻을 잇지 않았다. 가장 많은 저술을 남긴 정조, 그의 문집 100책이나 되는 ≪홍재전서≫는 100% 중국식 문장인 한문이다. 자신의 생각과 지식을 중국식 문장으로 번역하여 남긴 것이다.

▲ (왼쪽) 정조의 원손 시절 편지(정조 예술을 펼치다, 수원화성박물관. 11쪽), (오른쪽) 정조의 세손 시절 편지(같은 책. 10쪽) © 김슬옹 제공

정조는 원손 시절인 네 살 무렵 한글 편지를 남겼을 만큼 한글을 좋아했고 잘했다. 그런데 커갈수록 한글을 멀리했고 결국 세종의 훈민정음 정신을 잇지 않았다. “오륜행실도 언해”와 같은 한글 언해서를 펴냈지만, 그것은 물밀 듯이 밀려오는 서학을 막기 위한 전통 윤리 강조에 지나지 않았다.

그가 가장 아끼던 정약용을 비롯하여 박제가, 박지원 등 실학자 모두가 지식과 정보를 실용화하고 대중화하기를 거부했다. 정약용의 방대한 저술을 비롯한 이덕무의 ≪청장관전서≫ 등 실용서의 대표 격인 백과사전식 책이 쏟아졌지만 100% 모두 한문으로 기술되어 대중화하지 못했다.

▲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비밀 편지(안대회(2012), ≪정조의 비밀편지≫. 문학동네 118쪽) © 김슬옹 제공

서양 근대 문명이 제국주의 침략 도구로 탈바꿈하는 18, 19세기에조차 우리말을 우리 글로 적지 않고, 중국식 번역으로 지식을 가둔 대가는 참혹했다. 영정조의 개혁 정신이나 정치는 백성들의 생활 속으로 퍼져 나가지 못하고 세도정치와 족벌정치의 나락으로 굴러떨어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문자와 책을 통한 실용화로 부국강병을 이룬 서양과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을 막지 못하는 빌미가 되었고 결국 식민지로 전락하여 40여 년이나 외세의 간섭이나 지배를 받았고 그 비극은 분단의 비극으로 지속하고 있다. 이런 비극의 일차적 원인은 조선 말기의 부패한 세도정치가 아니라 지배층과 지식인들의 지식과 정보 실용화를 거부한 데 있다. 하도 답답한 나머지 이런 상상을 해 본 적이 있다. 100% 상상이다.

“18세기 후기 정조(재위 1776-1800) 시절. 박지원(1737-1805), 박제가(1750-1815), 정약용(1762-1836) 등 많은 실학자가 세검정에서 회합을 갖고 몇 가지 정부에 건의할 강령을 채택하고 정조에게 상소문을 올렸다. 정조의 개혁 정치가 더욱 힘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서인의 보수 정치에 주춤하자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행동에 난산 것이다. 실학의 진정한 학문적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거대한 역사의 발걸음이었다. 일부 평민들도 동참했다. 상소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하나. 중종 때 어숙권이 건의했다가 실패한 책방 설치를 전국 주요 도마다 최소 하나씩 설치한다.
둘. 지식과 정보를 쉬운 문자와 책으로 보급하고 나누고자 했던 세종 정신을 시대 정신으로 삼는다.
셋. 한글을 주류 문자로 채택하고 단계적으로 실록도 한글로 적고 모든 공문서도 단계적으로 한글로 적는다.
넷. 공공 교육 기관에서 다루지 않은 한글 교육을 서당과 향교부터 단계적으로 정규 교과로 다룬다.
다섯. 한글 문학을 장려하고 기존 한문 문학을 한글로 번역한다.


정조도 익히 마음에 둔 정책들이라 이를 채택하기에 이른다. 책방이 설치되니 다양한 책 유통이 활성화되고 양반의 지식 독점이 깨지면서 나라 전체가 서서히 바뀌어간다. 어느 정도 이러한 정책이 자리 잡을 무렵 정조가 갑자기 서거한다.
정조가 붕어하자 모든 개혁 정책이 원점으로 돌아오고 오히려 세도정치로 더 과거로 회귀한다. 그러나 이미 널리 보급된 한글 소설을 비롯한 많은 책을 통한 지식 유통의 봇물은 막을 수 없었다. 세도정치의 모순이 심화할수록 각 계층의 개혁 세력은 더욱 힘을 모으고 조선 왕조는 막을 내리고 새로운 세상이 열려 서구의 근대 못지않은 자생적 근대화가 이루어진다. 서구와 일본의 침탈이 본격화되지만 이미 세종 시대의 과학과 문명을 재현한 조선의 힘이 오히려 제국주의 침탈을 막고 제국주의 세력들은 조선의 역사 주도에 휩쓸리게 된다.”

김슬옹(2017). ≪한글혁명≫. 살림터. 205-206쪽.


------------------------------
위 글은 <세종신문>에 필자가 연재했던 것입니다.





김슬옹

김슬옹

한글닷컴(Haangle.com) 연구소장/편집위원, 세종국어문화원장



댓글 없음

Latest Articles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