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Nav

에디터정보

Haangle Latest

latest

'이빨' 예찬

1982년 무렵이다. 일등병이던 나는 대대 의무대에 가서 군의관에게 거수경례를 붙이고 이빨이 아파서 왔다는 용무를 ‘보고’했는데, 대위 계급장의 차가운 말이 비수처럼 꽂혔다.  “네가 짐승이야? 이빨이라고 하게?”  뻣뻣하게 언 일등병에게, 이빨은...

1982년 무렵이다. 일등병이던 나는 대대 의무대에 가서 군의관에게 거수경례를 붙이고 이빨이 아파서 왔다는 용무를 ‘보고’했는데, 대위 계급장의 차가운 말이 비수처럼 꽂혔다. 

“네가 짐승이야? 이빨이라고 하게?” 
뻣뻣하게 언 일등병에게, 이빨은 짐승의 이를 말하니, 사람의 이는 ‘치아’라고 해야 한다고 친절하게 설명하신다. 그 뒤, 굳이 이빨 대신 치아를 쓰는 사람을 종종 만났는데, 그럴 때마다 나는 갸우뚱거렸다. 왜냐하면, 내가 자란 마을에는 누구나 이빨이라고 말을 했기 때문이다. 좀 더 큰 읍내를 나가서도 마찬가지이다. 심지어 서울의 치과에서도 이빨이라고 했다.
그러다가 얼마 전 국어 수업 중에 무심코 ‘이빨’이라는 말을 썼는데, 한 학생이 이런다.

“선생님, 이빨이 아니라 치아가 맞는다는데요?”
당연히 국어 교사인 나는 이빨이 옳은 말이라고 했더니, 학생은 즉석에서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보여준다. 그걸 보고 나는 기함을 할 뻔했다. 노트북으로 확인하니, ‘네이버’ 창에 이렇게 떴다.

“이빨 : [명사] ‘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믿을 수가 없어서 ‘다음’에서 검색하니 이렇게 떴다.

“이빨 : ‘이2’를 속되게 이르는 말.”
나와 우리 가족은 물론 우리 동네 사람들이 모두 ‘속되고, 낮은 말’을 쓰는 천덕꾸러기가 되었다. 뒤통수를 몽둥이로 한 대 맞은 듯했다.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그 사전이 틀린 거라고 말하는 나를 보고, 아이들은 와 하고 웃었다. 평소 농담을 잘하는 나의 말을 이번에는 실제 농담으로 알아들은 것이다. 그날 집으로 돌아와서 90세가 되신 우리 어머니 평강 채씨에게 이빨에 관해 여쭈었다. 그랬더니 우리 어머니 말씀.
“옛날에 어른한테는 이빨이란 말을 안 썼어. 치아에 뭐 묻었습니다, 이렇게 말했지.”

그제서야 내 머릿속이 환해졌다. 존대법의 혼란에서 생긴 문제였다. 
우리말에는 존대법이 있다. 옛날 조선시대에 사농공상 네 계층이 있어서 생긴 현상이다. 하지만 이 치아와 이빨은 그것과도 조금 다르다. 이빨은 어른을 대하는 예법에서 온 현상이다. 우리가 어른들에게만 쓰는 말이 있다. 예컨대, ‘약주(술), 댁(집), 춘추, 연세(나이)’ 같은 말들이다. 어른들에게 술을 따라드릴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 예절이다.

“약주 한 잔 받으십시오.” ‘약주’가 존댓말이라고 해서, ‘술’이 낮춤말은 아니다. ‘술’은 높낮이가 없는 말이다. 만약 친구들과 술을 마시는데, “야, 약주 한 잔 해.”라고 한다면 이게 맞는 말인가? 당연히 틀린 말이다. 어법에 맞지 않는 오류이다. 

이처럼 어른에게만 높여 쓰는 말이 있다. ‘이빨’과 ‘치아’도 그런 관계이다. 즉 ‘치아’를 어른에게 높여 쓰는 말이라고 해서, ‘이빨’이 낮춤말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어르신, 치아에 고춧가루가 묻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맞지만, 
“얘야, 네 치아에 고춧가루 묻었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은 어법이라는 말이다. 

이것을 착각한 어느 의대의 교수님이 강의 시간에 이빨과 치아를 구별하여 가르친 것이고, 그의 충실한 제자들은 현장에 나와서 그 틀린 정보를 부지런히 퍼뜨렸을 것이며, 그 효과를 나는 군대 의무대에서 맞닥뜨린 것이다.

‘이빨’이 얼마나 아름다운 말인가는 그 뿌리를 더듬어보면 알 수 있다. 
‘이빨’은 ‘이+ㅅ+발’의 짜임을 보이는 낱말이다. 여기서 한눈에 띄는 말이 ‘발’이다. ‘발’은 ‘서릿발, 글발, 말발’ 같은 말에서 보듯이 줄줄이 들어선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국집 입구에 드리운 ‘발’도 그 발이다. ‘글발’은 비읍 순경음화(ㅸ)를 거쳐서 ‘글월’로 자리 잡는데, 이것은 세로 글로 쓰던 옛날에 위에서 아래로 줄줄이 드리운 책의 글씨에서 생긴 말이다.
‘서릿발’은 땅이 얼 때 표면이 밀려 올라가면서 그 밑에 줄줄이 드리운 작은 얼음기둥을 말한다. 그 기둥은 홀로 있는 경우가 없다. 촘촘히 붙어서서 흙을 밀어올린다. 그래서 ‘서릿발’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빨’도 이 ‘서릿발’처럼 이들이 나란히 서서 생긴 이름이다.

영어에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한다. ‘tooth’와 ‘teeth’. ‘tooth’와 ‘teeth’ 사이에는 개수의 차이뿐이지, ‘이빨’처럼 나란히 선 모양을 가리키는 속뜻은 없다. 한자도 마찬가지이다. 한자에서는 ‘치아(齒牙)’라고 하는데, ‘齒’는 그냥 ‘이’이고, ‘牙’는 ‘어금니’를 뜻하는 말이다. 한자는 홀로 쓰이기를 싫어해서 가락을 맞추느라고 아무 말이나 하나 더 추가한 것이다. ‘송곳니, 대문니’가 아니고 ‘어금니’인 것은, 그것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어떤 나라의 말을 보아도 우리말 ‘이빨’처럼 그 배열 상태까지 속에 담은 말은 없다.

내가 보기에, 이빨이야말로 우리말의 조어법이 얼마나 교묘하고 또 아름다운지 그 본때를 보여주는 말이다. 이런 아름다운 우리말을 한자 말 ‘치아(齒牙)’로 대체해야 한다니, 백성들의 이 무지몽매와 그걸 또 민원이랍시고 받아주는 국립국어원의 망발을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나는 우리나라에서 농투사니의 아들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이렇게 써놓고 나니 또 ‘농투사니’는 ‘농투성이’의 충남 방언이라고 나오고, ‘농투성이’는 ‘농부’를 얕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다음’ 사전이 설명한다. 도대체 이를 어쩌면 좋단 말인가?




정진명

정진명

시인 | onkagzy@hanmail.net

댓글 없음

Latest Articles

LANGUAGE